👤이런 양육자에게 추천해요
‣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아이를 안심시킬 필요가 있는 분
‣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에 대해 아이가 물어볼 때 설명하기 어려운 분
‣ 의도치 않게 어린이에게 사고 영상을 노출한 후 대처 방법을 알고 싶은 분
⏰ 두 줄 요약
‣ 어린이에게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를 설명하는 3가지 방법을 알려드려요.
‣ 어린이와 대화를 나눈 후 주의해야 할 3가지 사항을 알려드려요.
2024년의 마지막 일요일,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가 있었습니다.
사고 직후 방송사들이 앞다투어 속보를 내보냈고 양육자와 함께 텔레비전을 시청하다가 갑작스럽게 이 소식을 어린이가 접하기도 했습니다.이후 다양한 경로로 어린이가 사고 소식을 자연스레 알게 되기도 했죠. 비극적인 사건이라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어려움을 느끼는 양육자, 교육자분들이 많았어요.
어린이에게 어떻게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에 관해 알려 주어야 할까요?
우따따가 어린이에게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를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지 다뤄보았어요. 의도치 않게 어린이에게 사고 영상을 노출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런 국가적 재난을 어린이와 어떻게 이야기 나눌 수 있을지, 곧 비행기를 타고 여행 갈 예정이었다면 어린이를 어떻게 안심시킬 수 있을지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와 미국소아학회의 조언을 중심으로 정리했어요.
어린이에게 제주 항공 여객기 참사를 알려주는 3가지 방법
1.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객관적인 시각으로 설명해 주세요 📰
만약 어린이가 이미 사고 소식을 접했다면 막연한 공포감을 갖지 않도록 객관적인 시각으로 사건에 관해 설명해주세요. 아직 사고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비행기가 착륙중에 문제가 생겨 사고가 났다고 얘기해 줄 수 있어요. 사실을 기준으로 객관적으로 설명하되, 사건을 지나치게 무섭게 느끼게 하거나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해주세요.
2. 지역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걸 알려주고 안심 시켜주세요✋
어린이는 혹시나 이런 사고가 자신에게도 일어날 거라 걱정할 수도 있어요. 특히 곧 비행기를 타고 여행 갈 계획이 있는 어린이라면 더 불안할 거예요.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알려주세요. 소방관과 경찰, 구급대원이 다친 사람을 구조하고, 의사와 간호사가 다친 사람들을 보살피고 있다고요.
또 숫자를 이해하는 어린이라면 비행기 사고가 다른 사고에 비해 얼마나 드문 일인지 통계를 보여주며 걱정하지 않도록 안심시켜 주세요.
3. 이 사건으로 다른 사람들은 어떤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우리에게 미친 영향과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해요 📢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쳐서 그 사람의 가족들이 무척 슬픈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걸 알려주세요. 어린이가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을 위로해 주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고 싶어 한다면 함께 애도할 수 있어요. 종교가 있다면 종교의 방식대로 추모를 하거나 위로 편지 쓰기나 짧은 묵념을 할 수 있어요.
대화 후 가정에서 주의해야 할 3가지 사항
우따따의 가이드대로 아이와 대화하고 나서도 한동안은 아이가 잘 대처하고 있는지 살펴주세요. 사고 소식을 접하고 양육자와 충분히 대화한 어린이도 무력감과 슬픔을 오래 느낄 수 있습니다. 대화 후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을 전해드려요.
1. 텔레비전 소셜 미디어, 인터넷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건 이미지와 영상으로부터 어린이를 멀리해주세요 ✋
사건에 관한 이미지나 영상은 어린이를 놀라게 할 수 있어요. 가급적 미디어를 제한하고 해당 사건 관련해서는 가족 또는 선생님 같은 믿을 수 있는 가까운 어른과 나눌 수 있도록 해주세요. 어린이는 이미 사건 관련 이미지나 영상을 보았거나 후에 다른 친구로부터 사고 소식을 들을 수 있어요.
그러니 어린이가 먼저 말하기를 기다리지 말고, 해당 사건 관련하여 보거나 들은 것이 있는지 물어보고 관련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언제든지 물어봐도 된다고 얘기해주세요.
2. 어린이의 질문을 피하지 말고 객관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
어린이는 해당 사건과 관련해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를 물어볼 수 있어요. 기체 결함, 유가족 등의 단어를 묻는다면 사전적 정의를 알려주세요.
또 죽음에 대해 궁금해하거나 큰 두려움을 가질 수 있어요. 어린이가 죽음이 무엇인지 궁금해한다면 ‘심장이 더 이상 뛰지 않고 몸이 말을 듣지 않게 되는 것’처럼 객관적인 사실을 간단히 이야기해 주세요. 다만, 죽음을 ‘여행’이나 ‘잠’으로 비유하는 것은 어린이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여행이나 잠에 관해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어 피해 주세요.
3. 어린이가 해당 문제를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지 관찰하세요 👁️
예민하거나 공감 능력이 뛰어난 아이라면 해당 사건 이후 이러한 징후가 발견될 수 있어요. 이 경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참사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라면 과도한 두려움이나 불안함을 느낄 수 있어요. 이런 재난을 막기 위해 어린이가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기에 비극적 사고 앞에서 어린이는 어른들보다 훨씬 큰 무력감을 겪을 수 있죠. 안전한 사회에 대한 믿음을 다시 쌓아가는 데 시간이 걸릴지도 모릅니다. 어린이가 안전하다고 느낄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른들이 풀어가야 할 숙제가 여전히 많습니다.
우따따는 2022년에 발생한 이태원 참사 당시, 그리고 올해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어린이에게 참사를 알려주는 대화법과 주의 사항을 가이드로 제작해 배포한 적이 있었어요. 비극적인 사건이지만 어린이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세상에 일어난 일들을 알 권리가 있으니까요.
우따따의 다른 아티클도 읽고 싶다면 하단의 관련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