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어린이가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하는 이유를 확인해 보세요.
‣ 어린이가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어린이가 “나는 여자니까 치마 입을래!”, “남자니까 파란색이 좋아!”라고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한 적 있나요?
어린이의 자아는 영아기 후반, 만 2세부터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흔히 미운 네 살이라고도 하는 나이가 되면, 어린이는 나와 남의 다른 점과 같은 점을 확인하며 남과 나를 구분하는 방식으로 정체성을 확립해요. 이 시기의 어린이가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한다면, 성 고정관념을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듣거나 그러한 생각이 드러나는 상황을 접했을 가능성이 커요. 이 시기의 어린이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쉽게 받아들이기 때문이지요.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하는 아이, 왜 그러는 걸까요?
어린이가 성 고정관념을 접할 기회는 많아요. 또래들과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다양한 고정관념을 접할 수 있지요. 또는 조부모님의 말씀을 듣거나 미디어를 시청하며 무의식중에 고정관념을 만날 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아이가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래의 다섯 가지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첫 번째, 질문하기
아이가 왜 그런 말을 했는지 물어봐 주세요. 아이의 생각이 형성된 계기가 있을 거예요. 비슷한 말을 누군가에게서 들었을 수도 있고, 그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상처를 받았을 수도 있어요. “왜 그렇게 생각해?”라고 묻고 아이가 왜 그런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 파악하세요.
두 번째, 정정하기
아이의 발언을 정정해 주세요. 이때, 무조건 아이의 말을 부정하기보다는 더 넓은 관점에서 바라봐 주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아이가 잘못된 말을 했을 때는 바로 정정해 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말을 바로 고쳐 주지 않는다면 아이는 문제를 깨닫지 못하고 이러한 말을 계속 사용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그리고 그 말로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거나 혹은 스스로 그 말이 옳다고 믿으며 자기 생각에 갇히게 될 수도 있어요.
이렇게 대화해 보세요
태권도는 남자애들만 하는 거야!
그렇지 않아. 어떤 남자애들은 태권도를 좋아해. 하지만 태권도를 좋아하지 않는 남자애들도 있어. 또 태권도를 좋아하는 여자애들도 있단다.
세 번째, 다른 사례 보여 주기
아이들은 스스로 자기 생각과 반대되는 상황을 떠올리지 못해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발언을 정정한 뒤 구체적인 사례를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 친구, 그림책 등을 활용해서 관련 사례를 보여 주세요. 사례가 떠오르지 않는다면 아이와 함께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보는 방법도 좋아요.
태권도를 좋아하는 여자아이도 있지. 콩순이가 태권 체조했던 거 기억나? 콩순이는 여자인데도 태권도를 좋아하고 잘하잖아.
네 번째, 반대로 질문하기
아이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질문해 주세요. 질문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주변에서 사례를 찾을 수 있게 도와주세요. 당장 주변에서 사례를 찾지 못한다고 해도, 스스로 고민하면서 자기 생각을 만들어 나가는 경험은 매우 중요해요.
모든 남자 친구들이 태권도를 좋아해? 태권도 말고 다른 놀이를 좋아하는 남자 친구는 없어?
우리 반에 태권도를 좋아하는 여자는 누가 있을까?
다음에 태권도 좋아하는 여자 친구 찾으면 꼭 얘기해 줘.
다섯 번째, 몸소 보여 주기
아이의 생각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까운 어른입니다. 양육자나 어린이집/유치원 선생님의 행동과 생각이 아이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지요. 어른이 직접 성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는 상황을 꾸준히 다양하게 보여 주고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지금까지 아이가 성 고정관념이 담긴 말을 했을 때 상호 작용하는 법을 알아봤어요. 그러나 아이가 여섯 살 이상이라면 아무리 다양한 사례를 보여 주어도 그것이 보편적인 사례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어요. 또 선생님이나 양육자의 말보다는 주변 또래 친구들이 하는 말을 더 신뢰할 수도 있고요. 그럴 때마다 위와 같은 상호 작용을 반복해 주세요. 아이가 비판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스스로 반대 사례를 찾을 수 있도록 계속 유도해 주는 것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