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그림책을 통해 비판 의식 기르기가 왜 필요한지 확인해 보세요.
‣ 그림책을 읽으면 비판 의식을 기르는 방법을 알려 드려요.
유명한 책이라서 구매하였는데, 내용을 읽어보니 가치관과 맞지 않아 별로였던 적 있으신가요?
책을 구매하기 전에 양육 가치관에 적합하고 교육적인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에요. 주변 친구들이 많이 읽거나, 베스트셀러 코너에 있는 책이라면 쉽게 구매하는 경우가 많이 있지요. 그런데 막상 책을 열어보면 성 고정관념이 강하거나, 양육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에 어긋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럼 잘못 산 책이라고 읽어주지 말아야 할까요?
무작정 읽어주지 않기 보다는 책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해요.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어린이와 함께 이야기 나누며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이 어린이가 스스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비판 의식 길러주기!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비판 의식을 길러줄 때,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그림책 속의 내용이 현실의 내용과 항상 같지 않음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이 필요해요. 아래의 3단계의 방법을 통해 어린이의 비판 의식을 길러주어요.
STEP 1 등장인물 살펴보기 🧐
책을 읽기 전 표지나, 내지에 있는 등장인물의 모습을 보며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예를 들어 엄마가 치마, 앞치마만 입고 등장한다는 모습 혹은 아빠는 넥타이를 메고 회사에 가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진 않은지 살펴보며 성 고정관념을 해소하는 대화를 나누어 볼 수 있어요.
이렇게 대화해 보세요.
그림책에 그려진 엄마, 아빠의 모습은 어떤 것 같아?
엄마는 앞치마를 입고 요리를 하고, 아빠는 넥타이를 메고 회사에 가요.
OO이의 엄마, 아빠도 이런 모습이니?
아니요. 우리집은 아빠가 요리를 더 잘해요! 엄마도 회사에 가지요.
맞아. 그림책 속 엄마, 아빠의 모습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우리집처럼 엄마, 아빠의 모습은 모두 다를 수 있단다.
STEP 2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읽어보기 👥
그림책은 주인공의 입장에서만 쓰인 경우가 많아요. 책을 읽고 난 뒤 다른 인물의 입장이 되어 읽어보는 활동은 해당 인물의 마음에 공감해보며 그림책 속 문제상황을 인식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이렇게 대화해 보세요.
(선녀와 나무꾼을 읽고) OO이는 목욕하다 낯선 사람이 지켜보고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어떤 마음이 들 것 같니?
너무 창피하기도 하고, 화가 나는 마음이 들 것 같아요.
심지어 옷을 도둑맞았다면?
경찰에 신고해야 해요! 도둑질은 나쁜 행동이기 때문이죠.
맞아. OO이가 선녀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았을 때는 선녀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니?
아니요. 나무꾼이 나쁘다는 생각을 해보지 못했는데, 제가 선녀라고 생각하니 정말 억울하고, 속상하고, 화가 났을 것 같아요!
STEP 3 문제점 찾아 재구성하기 📝
그림책의 문제점을 발견했다면, 나라면 어떻게 했을지 생각해 보며 그림책의 내용을 재구성해 보는 것은 어린이가 비판 의식을 기르는 것에서 나아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답니다.
이렇게 대화해 보세요.
(선녀와 나무꾼을 읽고) OO이가 나무꾼이라고 생각해보자. OO이는 산 속에서 목욕하고 있는 선녀를 발견한다면 어떻게 할 거니?
다른 길로 돌아 갈 거예요.
맞아. OO이처럼 정직한 사람이라면 몰래 훔쳐보지 않을 거야. 그런데, 안 그런 사람도 있을 수 있잖아.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그 곳을 안 지나갈 수 있을까?
음… 산 속이라 문을 다는 것은 어려울 테니까 표지판을 세우는 것은 어떨까요? ‘이 곳은 목욕하는 곳이니 저 쪽으로 돌아가세요!’라고 말이에요.
이렇게 가정에서의 작은 연습으로 어린이가 비판 의식을 기르며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며 건강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