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경계 존중 교육을 시작하는 시기를 확인해 보세요.
‣ 월령별로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경계 존중 교육법을 확인해 보세요.
경계 존중 교육은 어린이가 말 못하는 영아일 때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경계 존중 교육을 시작하고 싶은데, 몇 살부터 가능한지 고민 되시나요? 24개월 미만의 영아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사실 말을 잘 못하는 영아일 때부터 가정에서 경계 존중 교육을 시작할 수 있답니다.
🤷♀️ 동의를 구할 수 없는데, 어떻게 가능하죠?
미리 양해를 구할 수 있어요 : 의사소통이 안 되기 때문에 어린이의 동의를 구할 수는 없지만, 양육자가 어린이의 경계 안에 들어갈 때마다 미리 양해를 구하는 방식으로 경계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 줄 수 있어요. 어린이가 어려서 어린이의 몸을 만질 일이 많다면, 민감한 부위를 만질 때라도 꼭 미리 이렇게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아빠가 기저귀 갈아 줄게.”, “할머니가 엉덩이 닦아 줄게.”
🤷♂️ 내 아이인데… 그렇게까지 철저히 해야 할까요?
그럼요. 왜냐하면요,
스스로 자신의 경계를 잘 지키는 어린이 🧒 - 아주 어릴 때부터 이런 식으로 고지를 받아 본 어린이라면 누군가 자신의 경계를 넘을 때 동의를 구하지 않는 것이 폭력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답니다.
존중받고, 존중하는 어린이 👦 - 가까운 어른에게 존중받는 경험이 쌓인다면 어린이도 사회에 나가 자신이 존중받아야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행동하며, 다른 사람도 존중하게 될 거예요. 또 어려운 상황에서도 싫을 때 싫다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답니다.
💡 월령별 경계 존중 교육법
24개월 미만
미리 알려줘요 ☝️ : 어린이가 어려서 말을 하지 못할 때부터 성기나 엉덩이, 가슴을 만질 때 꼭 미리 알려줍니다.
“엄마가 엉덩이 씻어줄게.“, “할아버지가 로션 발라줄게.”
36개월 미만
동의를 구해요 🙆 : 의사소통이 가능한 나이가 되면 어린이의 경계 안에 들어갈 때 동의를 얻습니다. 이때 동의하는 법과 거절하는 법을 함께 알려주세요.
“안아줘도 될까?“, “뽀뽀해도 될까?”
예쁜 짓, 강요하지 않아요 🙅 : 어린이가 원하지 않는 애교나 예쁜 짓을 강요하지 마세요. 용돈이나 간식을 빌미로 뽀뽀나 포옹 등을 요구하지 마세요. 어린이는 원치 않는 행동을 물질이나 강요로 요구할 수 있다는 인식이 만들어져요.
60개월 미만
마음의 경계 침범! 삐삐! 🚧 : 경계는 신체적 경계만 있지 않습니다. 내 마음에도, 내 물건에도 경계가 있어요. 또한 양육자만 경계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도 양육자의 경계를 지켜줘야 합니다. 수신호를 만들어 경계 침범을 하면 알려주세요.
“삐삐, 너 지금 엄마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화장실 문을 벌컥 열었어.“, “삐삐, 아빠 지금 내 마음의 선을 넘었어요.”
72개월 미만
거절당했을 땐 이런 방법이 있어 🙋♀️ : 동의 구하는 법, 거절당하는 법에 익숙하게 해주세요. 친구에게 거절당했을 때 다른 방법으로 물어볼 수 있다는 걸 알려주세요.
“장난감 빌려주기 싫어? 그러면 빌려줄 수 있을 때 알려줘.“, “뽀뽀하기 싫어? 대신 우리 하이 파이브 할까?”
사진 찍어도 될까? 📷 :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시 어린이에게 동의를 구해주세요. 혹시나 어린이가 원하지 않는다면 촬영하지 말아 주세요. 매번 동의를 구하기 어렵다면 어린이에게 네가 원하지 않을 때 말하면 언제든지 사진을 삭제해 주겠다고, 또는 어린이가 모르는 사람들이 있는 단톡방이나 공개된 SNS에 업로드 하지 않겠다고 약속해 주세요.
84개월 미만
분명한 동의만, 동의 👍 : 상대방이 ‘그래’ 또는 ‘좋아’라고 해야만 동의를 한 거예요. 대답하지 않거나 엉뚱한 대답을 하는 등 동의가 아닌 모든 표현은 거절이라는 걸 알려주세요.
주소, 전화번호도 ❌ : 경계는 온라인 공간에도 있습니다. 내 사진에도, 정보에도 경계가 있어요. 길거리에서 누군가 나의 신상정보를 물으면 대답해 주지 않는 것처럼 온라인에서도 나의 신상정보는 함부로 말하면 안 된다는 걸 알려주세요.
🌟 위에서 알려드린 교육 가이드는 월령별 발달 수준에 따라 권장하는 방법이지, 반드시 해당 월령에만 해야 하는 내용이 아니에요. 더 높은 월령의 어린이라도 경계 존중 교육을 처음 시작한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교육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