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하원 후 어린이에게서 상처를 발견했을 때, 어린이의 연령에 맞게 대처하는 팁을 확인해 보세요.
‣ 지속적으로 같은 상처가 발견되는 경우 확인해보셔야 할 것들을 알려드려요.
하원 후 집에 돌아 온 어린이의 얼굴이나 몸에 못 보던 상처를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눈에 보일 정도로 큰 상처의 경우에는 대부분 담임선생님이 설명해 주시지요. 그런데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상처에 대해서는 선생님의 설명을 듣지 못하실 때가 있을 거예요. 그럴 때 선생님께 어떻게 물어보면 좋을지 고민해 보신 적 있지 않으셨나요?
💡 전직 교사가 알려드리는, 하원 후 작은 상처 발견했을 때 대처 팁!
1. 영아의 경우, 고민하지 말고 담임 선생님께 물어보세요.
아직 자기 의사를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영아의 경우에는 담임선생님께 바로 물어보는 것이 좋아요. 필요에 따라 어린이의 상처 사진을 보여드리면서 선생님께 전화 혹은 대면으로 물어보세요.
어린이의 상처는 기관에서 일어난 것이 아닐 수도 있답니다. 선생님과 대화하며 가정에서도 다쳤을 만한 곳이 없는지 살펴보겠다고 이야기 해주세요. 담임선생님도 비슷한 상처가 다시 생기지 않도록 교실 안 상황, 교우관계 등을 면밀히 살펴주실 거랍니다.
2. 유아의 경우, 어린이에게 단계별 질문으로 상황을 먼저 파악해요.
하루 동안 있었던 일을 이야기할 수 있는 유아라면 어린이에게 먼저 물어보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요.
그런데, 양육자의 질문 방식과 대화의 톤에 따라 간혹 어린이는 당황하여 사실과 다른 대답을 하기도 한답니다. 취조하는 듯 급하게 질문을 던지지 말고, 어린이가 하나씩 생각하고 대답할 수 있도록 천천히 단계별로 질문해 보세요.
상황이 충분히 파악된 후에 선생님과 이야기가 더 필요할 경우 물어보는 것이 좋답니다.
3. 지속적으로 같은 상처가 발견된다면 이런 경우일 수 있어요.
📍 옷 또는 자주 사용하는 물건, 장난감에 거칠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가렵거나 습관적으로 긁는 부분은 아닌지 확인하세요.
📍 또래와의 갈등(다툼, 일방적으로 폭력을 행사한 경우 등)으로 인한 것은 아닌지 확인하세요. 또래와 갈등이 있는 경우에는 선생님께 상담을 요청하세요.
기관을 보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관과 선생님을 신뢰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랍니다. 어린이가 다쳐서 오거나, 몸에 상처가 생길 때 속상한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해요. 하지만 선생님들도 같은 마음이랍니다.
한 공간에서 많은 어린이들을 돌보고 가르쳐야 하는 교사의 입장을 이해하며 대화해 주신다면, 선생님과 더 두터운 신뢰 관계를 만들어 가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