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 어린이가 놀이를 하면서 어떻게 성별 고정관념을 학습하는지 알아보세요.
‣ 가을에 어린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성 중립적 놀이를 추천해 드려요.
‣ 캠핑과 탐험 놀이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여러분의 아이는 실내에서 어떤 놀이를 하고 있나요? 남자아이라서 자동차놀이만, 여자아이라서 주방놀이만 하는 것 같아 고민해 보신적은 없으신가요?
어린이들은 실내 놀이를 할 때 성별 고정관념에 쉽게 노출됩니다. 실내 놀이에서 사용하는 놀잇감이 그 자체로 성별 고정관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남자아이를 위한 놀잇감에는 활동적이고 공격적인 남성의 이미지가, 여자아이를 위한 놀잇감에는 정적이고 돌봄 친화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스며 있는 거지요.
따라서 실내 놀잇감으로 놀이하는 방법 또한 이미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놀잇감은 때때로 놀이에 대한 어린이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제한해요.
어떤 어린이는 새로운 놀이를 해 보고 싶어도 주변의 시선이 신경 쓰여 도전하지 못하고 있을지도 몰라요. 새로운 놀이에 도전할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어린이들도 있겠죠. 하지만 깊이 뿌리내린 성별 고정관념은 직업 선택, 관계에 대한 태도, 자기 가치감 등 다양한 면에서 어린이의 한계를 규정하는 벽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린이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없을 거예요.
그렇다면 아이들이 성 중립적으로 놀이할 수 있게 해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미 로봇 놀이나 자동차 놀이를 좋아하는 남자아이, 인형 놀이나 공주 놀이를 좋아하는 여자아이에게 불쑥 낯선 놀잇감을 내민다고 해결될 일은 아닐 텐데 말이에요.
이런 고민을 하는 양육자분들께 탐험 놀이와 캠핑을 추천해 드려요.
바깥에서 놀기 딱 좋은 계절인 가을을 맞이해 어린이와 함께 밖으로 나가 보는 거예요. 이와 같은 야외 활동은 성별 고정관념을 의식하지 않고 다양한 역할을 맡아볼 좋은 기회랍니다.
탐험가가 된 아이들은 서로 다른 성격의 활동을 함께 할 수 있어요. 실제와 상상을 오가면서 말이에요.
이렇듯 성 중립적인 놀이를 하면 여자다움이나 남자다움이 아닌 나다움을 배워갈 수 있습니다.
💡 어린이가 여러 가지 역할을 재미있게 경험해 볼 수 있는 탐험 놀이와 캠핑 아이디어 세 가지를 함께 알려드릴게요.
1. 텐트를 세우고 꾸며요.
▪️ 어린이와 함께 텐트를 옮기고 세워 보세요. 폴대 연결하기, 막대로 텐트 고정하기 등 어린이가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해 보게 해 주세요.
▪️ 그리고 텐트 안을 어린이가 좋아하는 사물로 꾸며 보세요. 텐트 한쪽에 줄을 묶어 놓고 어린이가 주변에서 찾은 나뭇잎, 꽃 등을 집게로 매달아 줄 수도 있어요.
2. 자연물을 채집해서 요리해요.
▪️ 요리 놀이를 하기 전에 먼저 음식 재료로 사용할 돌멩이, 솔방울, 나뭇가지 등의 자연물을 직접 채집하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이렇게 말하며 자연스럽게 달리기, 점프하기 등의 운동을 제안할 수 있어요.
▪️ 재료를 다 모으면 커다란 나뭇잎에 음식을 정성껏 담아 식탁에 차리고, 식사 시간을 즐겨요.
이렇게 대화해 보아요.
저쪽에 맛있는 재료들이 또 있는 것 같은데, 저기까지 뛰어가 볼까?.
솔방울을 음식이라고 하는 게 어때요?
좋은 생각이야! 요리도구는 무엇으로 하는 게 좋을까?.
나뭇가지로 휘휘 저으면 되겠어요.
3. 보물찾기를 해요.
▪️ 함께 돌멩이와 나뭇가지 같은 자연물에 그림을 그리거나 리본을 묶어 보물을 만들어 보세요. 그리고 어린이가 텐트 안에 들어가 있거나 눈을 감고 있는 동안 양육자가 보물을 숨겨 놓습니다.
▪️ 어린이가 보물을 찾을 때는 튼튼한 나뭇가지 하나를 손에 쥐여 주세요. 모험심 넘치는 탐험가가 되었다고 상상하면서, 나뭇가지를 이용해 높은 곳에 달린 보물을 떨어뜨리거나 흙을 파 보는 도전적인 활동을 해 볼 수 있어요.
이렇게 대화해 보아요.
보물을 찾아 볼 수 있겠니?
조금만 힌트를 주세요!
첫 번째 보물은 우리 텐트에서 열 걸음 떨어진 곳에 있는 나무 아래에 있어. 두 번째 보물은 첫 번째 보물이 있던 나무보다 작은 나무의 가지에 걸려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