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 태극기로 기억하는 우리나라 역사 이야기, 쉽게 들려주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 태극기 게양일, 태극기의 색깔의 의미를 가르쳐주는 방법을 알려드려요.
‣ 쉽고 재미있는 태극기 놀이 3가지를 알아 보세요.
이번 주에는 ‘제헌절’이 있어요.
제헌절 같은 국경일에는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데요. 요즘은 예전보다 태극기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기가 힘들어요. 2022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리서치 결과*에 따르면, 국경일과 주요 기념일에 태극기를 걸지 않는다는 응답이 전체의 50%를 넘었다고 해요. 18-29세는 그 응답이 70%를 넘었고요.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상징이에요. 태극기에 담긴 의미를 알면, 어린이는 우리나라의 역사도 알게 되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도 가질 수 있답니다. 이번 제헌절엔 잊지 말고 태극기 게양하면서 태극기에 대해 알려주시면 어떨까요? 우따따가 태극기와 친해질 수 있는 놀이 3가지도 추천해 드릴게요!
알쏭달쏭 태극기🧐, 이런 걸 알려줄 수 있어요!
✔️ 태극기의 의미 :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독립성을 나타내는 소중한 상징이죠. 어린이에게 태극기가 만들어진 역사, 나라의 독립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설명해 줄 수 있어요.
태극기가 뭐예요?
태극기는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깃발이야. ‘국기’라고도 하지. 이 태극기를 보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아주 중요한 일을 기억할 수 있어.
어떤 중요한 일이요?
옛날에 우리나라 땅이 일본에 빼앗긴 적이 있었어. 그때 사람들은 태극기를 흔들면서 우리 땅을 되찾기 위해 열심히 싸웠어. 그때 땅을 되찾지 못했다면 태극기는 없어졌을 거야. 태극기는 우리나라를 지켰다는 걸 기억할 수 있는 소중한 물건이야.
✔️ 태극기 게양일 : 태극기는 5대 국경일(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 조의를 표하는 날인 현충일에 걸어요. 우리는 정해진 날에만 국기를 걸지만 공공기관이나 국제적인 교류 장소는 매일 태극기가 걸려 있어야 해요. 태극기를 언제 거는 거는지 어린이가 안다면 함께 태극기도 걸고,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어요.
태극기는 언제 걸어요?
태극기는 우리가 나라를 되찾은 날에 걸어. 삼일절과 광복절이 있지. 이번 주에 있는 7월 17일 제헌절에도 걸어. 나라의 법, 규칙이 정해진 날이거든. 10월에 오는 개천절과 한글날에도 걸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을 기억하는 현충일에도 태극기를 건단다.
그런데 지난번에 놀러 갔을 때 태극기 본 적 있어요. 그날은 아무 날도 아니었는데요?
우리 호텔에 놀러 갔을 때 말이지? 다른 나라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장소인 공항이나 호텔에는 매일 태극기가 걸려 있어야 하는 게 규칙이야.
✔️ 태극기 색깔에 담긴 상징 : 태극기에 사용된 색은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어요. 그 색에 담긴 의미를 알고 태극기를 바라본다면 태극기가 더 아름답게 보일 거예요. 또, 어린이들이 태극기를 그릴 때 자신이 평소에 좋아하는 색으로 칠하는 것 대신 정해진 색으로 칠하며 그 뜻을 다시 생각할 수 있죠.
태극기에는 알록달록 색이 많은데 왜 그런 거예요?
태극기에 있는 색들은 다 이유가 있대. 제일 많이 보이는 하얀색은 ‘평화’를 뜻해.
그럼 가운데에 있는 동그라미는 왜 빨강이랑 파랑이에요?
빨강 하면 따뜻한 느낌이 들지? 파랑은 반대로 차가운 느낌이 들고. 이 두 가지 다른 느낌이 함께 사이좋게 어울려 있는 거야.
동그라미 밖에 검은색 막대기들은 뭐예요? 길고, 짧고 하잖아요.
그건 하늘, 땅, 물, 불이래. 하늘과 땅과 물과 불이 모두 합쳐지면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이야.
태극기와 친해지는 놀이 3가지
1. 태극기 그리기 🖍️ : 태극기 직접 그리기, 어렵지 않아요. 태극기 관련된 책을 읽어본다면 어린이에게 도움이 돼요. 그리는 과정에서 태극기의 상징적 의미를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고, 태극기의 구성요소를 익힐 수 있답니다. 태극기를 프린트하여 제공해 주는 것도 좋아요. 저월령은 색연필, 파스넷을 이용하여 색칠할 수 있죠. 고월령은 한지 색종이, 반짝이 풀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태극기를 꾸며볼 수 있어요.
📖 1부터 6까지의 숫자를 활용하여 태극기를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책 <태극기는 참 쉽다>를 추천합니다.
태극기 그리는 방법을 1부터 6까지의 숫자를 활용하여 쉽게 알려줘요. 책에서 알려준 방법을 그대로 따라 하면 태극기 그리기 어렵지 않아요. 태극기가 어떻게 세상을 담고 있는지 상징적 의미도 재미있게 알려 주는 그림책입니다.
2. 어디 어디 숨었나, 태극기 찾기 🔎: 집 주변에서 태극기 찾기 놀이를 해보세요. “어? 우리 집도 걸었는데~ 우리랑 똑같이 한다!”라며 우리 모두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어요. 공공기관, 호텔 등에는 태극기와 함께 만국기가 걸려 있어요. 만국기 속 태극기를 찾다 보면 자연스럽게 다른 나라의 국기 모양, 색을 살펴볼 기회가 된답니다.
3. 태극기 다는 날 표시하기 📆 : 어린이와 달력을 넘겨 보며 태극기 다는 날을 표시해 보세요. 태극기 스티커를 구입해서 붙여도 좋고, 색연필이나 사인펜으로 동그라미를 그려도 좋아요. 내가 직접 표시했기에 날짜가 언제인지 어린이의 기억 속에 남아 태극기 걸기에 앞장설 거예요.
출처
* "국기 게양 행태 및 태극기 인식 조사",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이동한,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