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 승부욕이 자연스럽게 발달하는 시기는 언제인지 확인해 보세요.
‣ 아이의 승부욕이 너무 지나치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체크리스트를 알려드려요.
‣ 지나친 승부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대화 가이드를 알려 드려요.
“난 꼭 1등 할 거야!”
어린이의 지나친 승부욕, 어떻게 다뤄주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계시죠? 어린이가 1등 만을 최고라고 생각하고, 지면 울고 화낼 때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지난주 파리 올림픽이 개막했어요. 어린이와 정정당당하게 승부를 겨루고 결과를 받아들이는 올림픽 선수들을 보면서, 바른 경쟁에 대해 생각하고 대화 나눠 보세요!
우리 아이 승부욕, 이 정도면 괜찮은 걸까?
목표를 향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승부욕 : 승부욕은 발달 과정에서 보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 만 4~5세가 되면 어린이는 또래와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하고, 평가할 수 있어요. 그래서 자신이 새로운 것을 터득하거나 성취하면 더 강한 자신감을 보이기도 하죠. 이러한 승부욕과 자신감은, 어린이가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 동기를 부여해 준다는 장점이 있어요.
타인과의 관계를 해친다면 조심 : 하지만 어린이의 승부욕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린이 스스로에게도 새로운 도전을 하기 두렵게 만든다면? 그때는 경쟁심을 더 주의 깊게 다룰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하다는 신호예요. 아래의 체크리스트 중 해당하는 것이 있다면,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여 어린이가 건강하게 승부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대화를 나누어 주세요.
경쟁심이 강한 아이라면, 이렇게 대화해 보세요
첫째, 협력의 소중함을 생각하기
승부욕이 생기는 만 4~5세, 이 시기에는 협력하는 힘도 함께 발달해요. 서로 협력하며 놀이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언어 능력이 더욱 발전하죠.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함께 규칙을 만들고 지킬 수도 있게 되고요. 실패했을 때 좌절하고 슬퍼할 수 있지만, 어린이에게는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다른 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협력하는 방법을 알아가는 어린이는, 타인과의 관계의 소중함을 생각하며 나의 감정을 조절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어요!
🌟승패와 상관없이 서로 존중하고 격려하는 선수들의 모습을 보여주세요
올림픽 선수들은 경기에서 졌는데도 상대 선수에게 화를 내지 않고, 오히려 서로 악수하고 안아주네. 함께 경기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나 봐.
OO이도 친구들이 소중하다고 생각하지? 그러니까 친구에게 졌다고 해서 미워해서는 안 돼. 이기고 지는 것과 상관없이, 친구는 소중한 존재라는 걸 기억하길 바라.”
둘째, 나만의 목표를 정하기
미국의 심리학자 콘은 성공(잘하는 것)과 승리하는 것(다른 사람보다 잘하는 것)을 헷갈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해요.* 나의 성공이 언제나 나의 승리(상대의 실패)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어쩔 수 없이 어린이가 치열한 경쟁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타인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나의 역량을 키워가는 데 초점을 맞추게 해 주세요. 나만의 소중한 목표를 바라보며 달려갈 수 있도록이요!
🌟올림픽 선수가 노력한 과정을 생각하고 칭찬해 보세요
저 선수는 이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했을까? 저 선수를 만난다면 어떤 응원과 칭찬의 말을 해 주고 싶어?
OO이도 어떤 경기에서 지더라도, OO이가 했던 노력을 스스로 꼭 칭찬해 주었으면 좋겠어.
셋째, 감사하는 마음 갖기
연구*에 따르면 감사하는 마음은 지나치게 경쟁하려는 마음을 진정시킨다고 해요. 감사함을 느끼면 지금 내 상태에 만족하며 공동체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고 연구는 분석하고 있어요. 승패와 상관없이, 어린이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했을 때 이렇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모든 사람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게 해 주세요. 그리고 평소에도 일상 속에서 사소한 것에 감사한 마음을 갖고 표현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어린이와 잠들기 전 감사한 것 3가지를 말해 보세요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록 마음에 사랑이 더 많아진대. 오늘 OO이는 어떤 것이 감사하게 느껴졌어? 감사했던 것 3가지를 말해 보자.
목표를 향한 중요한 원동력이지만, 지나치면 해가 될 수 있는 승부욕. 어린이의 승부욕이 건강한 방향으로 발현되도록 협력의 소중함을 느끼고, 나만의 목표를 세우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함께 대화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승부욕을 조절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법을 배우는 어린이로 자랄 거예요!
출처
* "Parenting an Overly Competitive Child", Bloom, 2020.
* "Yes, you can be too competitive. Here’s why, and how to stop.", Washingtonpost, 2022.
* "Gratitude inhibits competitive behaviour in threatening interactions", Cognition and Emotion, 2020.
관련 아티클
![]() |
[큐레이션] 올림픽 중계 보며 같이 읽으면 더 재밌는 스포츠 그림책 아티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