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성인지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 성인지 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려 드려요.
성인지 교육의 효과,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을까요?
교사가 올바른 성인지 감수성을 갖고 아이들을 대해도, 아이들이 가정이나 미디어 등을 통해서 성 고정관념을 학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기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성인지 교육 내용을 가정에 공유하고, 아이의 반응과 성장에 대해 함께 대화 나누기가 필요해요.
성인지 교육을 하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성인지 감수성 점검하기 : 성인지 교육을 하는 교사는 자신이 올바른 성인지 감수성을 가졌는지 항상 점검해야 합니다. 성인지 감수성을 갖고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성 차별적 문제를 인지하도록 노력해야 해요.
성 고정관념 없는 환경 제공하기 : 유아가 성 고정관념('성 역할 고정관념' 또는 '성별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사진, 그림책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다채로운 여성과 남성의 모습을 보여 주고, 유아가 성별에 상관없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성인지 감수성, 가정에서도 일관성 있는 교육이 필요해요!
가정에서 교육을 병행할 때 교육의 효과는 더욱 높아져요
아이들이 가정에서 성 고정관념을 습득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인지 감수성을 키울 수 있게 하려면 먼저 기관에서 실시한 성인지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양육자에게 공유할 필요가 있어요. 가정에서도 기관과 같은 방향의 성인지 교육을 해주어야 일관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알림장이나 키즈 노트를 통해서 기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성인지 교육 내용을 공유해 보세요.
성인지 교육 과정 공유하기!
성인지 관점이 담긴 그림책을 함께 읽었다면, 오늘 아이와 함께 읽은 책이 어떤 내용인지, 그림책을 읽고 난 뒤 아이의 반응은 어땠는지, 교사와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등을 전달하며, 자연스럽게 기관에서 아이의 성인지 감수성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교육하는 지 양육자에게 알릴 수 있어요. 또한 이 과정에서 아이가 성별 고정관념이 담긴 대답이나 의견을 내었다면 이 부분에 대해 공유하며 어떻게 바로 잡으면 좋을지도 알려드릴 수 있어요.
교육을 공유하며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성평등 실천 방법, 양육자가 보면 좋을 성인지 교육 콘텐츠를 소개해 주시는 것도 좋아요. 혹시 성인지 교육을 반대하는 양육자가 있다면 우리 아이들이 자유롭게 자랄 수 있는 인성교육의 일부로 설득해 주세요.
성인지 교육 콘텐츠에 대한 소개와 성인지 교육을 오해하고 있는 양육자에 대한 설득 방법은 🔗 다음 시리즈(04:양육자도 성인지 교육을 받을 수 있을까요?)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