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주 양육자의 얼굴 2편 : 풀타임 맞벌이 부부의 적극적인 육아 협업기



#매거진 #인터뷰 #양육자 #다양한 양육자 



인터뷰이 : 김유나, 남궁준영
소개 :
주 양육자란 결국 아이에게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부. 주연에서 조연으로 삶의 변화를 양팔 벌려 환영한다. 번갈아 육아휴직을 내고 부모 됨을 적극적으로 경험했다. 현재는 풀타임으로 일하며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육아를 하고 있다. 부부가 회사에 출근할 때 아이는 어린이집과 조부모님의 돌봄을 받는다. 각자의 일과가 끝난 후 함께 모여 단란하게 저녁 식사를 하고 나란히 산책하기를 즐긴다. 


우따따 독자분들에게 인사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우따따 매거진을 보고 ‘와아. 이런 서비스도 있구나!’라고 생각하며 신선한 자극을 받았습니다. 아이들이 저마다 다른 것처럼 어른들의 다양한 모습과 부모가 가려운 곳을 구석구석 구석구석 긁어주는 콘텐츠가 태어나고 있어 참 다행이다 싶었어요. 저희는 온유네 가족이고요! 아빠 준영, 엄마 유나입니다. 



주 양육자, 아이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사람  



현재 가정 내에 어떤 분이 주 양육자이신가요? 

유나 : 저희 부부예요. 시간으로 따진다면 제가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하고 있는데요. 육아를 해보니까 주 양육자라는 건 영향력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 같더라고요. 부모님들이 도와주실 때도 저와 준영의 의견을 많이 반영해주시고, 저희도 아주 사소한 것부터 같이 결정하고 있어서 육아에 대해서는 확실히 저희 부부가 주 양육자 인 것 같아요.  


주 양육자에 대해 정의가 신선해요. 

유나: 임신기에 주 양육자란 단어를 처음 들었어요. 누가 주 양육자가 되며, 보통 맞벌이인 경우 할머니가 주 양육자가 되고, 아이가 주 양육자에 대한 개념을 혼동하는데~ 같은. 아이를 키우다 보니까 주 양육자를 ‘함께하는 시간의 양’으로 정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준영 : 양육 시간으로 따지면 제가 장모님보다 더 짧겠지만, 저는 자신을 주 양육자라고 생각하거든요. 시간이 중요한 게 맞지만,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유나 : 온유는 저희 엄마가 평일 오후에 챙겨주시고, 저랑 남편이 출근 전, 퇴근 후, 주말 등 나머지 시간을 봐요. 아이를 낳고 9개월까지 제가, 15개월까지 남편이 육아휴직을 해서 아이를 키웠어요. 아무리 아기지만 엄마, 아빠와의 시간이 아이 마음에 저장이 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준영 님이 가끔 아이와 외박을 하신다고요. 

유나 : 한두 달에 한 번씩 준영이가 온유를 데리고 할머니 할아버지 집에 가서 외박을 해요. 매일 아이랑 등원하다 보면, 컨디션이 안 좋거나 마음이 요동칠 때가 있잖아요. 이럴 때 감정이 폭발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장치 중의 하나가 준영이와 온유의 외박으로 만들어진 저 혼자만의 시간이에요. 게다가 준영이가 지난 1년 동안 개인적인 약속이나 야근을 마다하고 늘 저녁 7시 전에 집에 도착했어요. 그런 것들이 제게 큰 안정감을 주고요. 온유도 아는 것 같아요. 아빠를 유독 좋아해요. 주변에 육아 경험이 있는 친구들도 온유가 아빠를 진짜 좋아하는 편이라고 말하더라고요.  

준영 : 제가 온유와 처음 외박을 한 건 온유가 60일경이었어요. 정말 빨랐죠? 온유가 그만큼 참 순한 아이였어요. 유나가 산후 회복과 육아를 병행하던 시기라 큰맘 먹고 온유와 본가로 향했죠. 부모님도 온유를 오랫동안 볼 수 있으니 좋아하셨어요. 온유와 단둘이 외박해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온유가 엄마를 막 찾고 보채는 일이 많지는 않더라고요. 제가 없을 때도 나를 많이 찾지 않겠구나 싶었어요. 그게 다행이면서도 섭섭했지만, 오히려 함께하는 순간에 아이에게 더 집중하게 된 계기가 됐어요.  



주연에서 조연으로, 개인에서 가족으로  



아이가 생기고 난 후 삶이 완전히 바뀐다고 하죠. 아이를 갖고 나서 생긴 개인적, 가족 단위의 변화는 무엇인가요?  

유나 : 임신하고 두 번째 인생이라는 표현을 많이 했어요. 정말. 일단 시공간의 쓰임이 아예 다르잖아요. 시간이 너무 귀해지고,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더 뚜렷해지는 것 같아요. 귀중한 시간을 쪼개고 쪼개서 해야 하니까 선택과 집중을 잘하게 되는 것 같아요. 

또 주연에서의 삶이 조연의 삶으로 바뀌는 것 같아요. 그리고 조연으로의 삶이 시간이 흐를수록 반가워요. 20대랑 30대 중반까지 나를 주인공으로 충분히 놀았는데 지금은 온유의 부모로서 살고 있잖아요. 반면 온유는 남이고요. 남이 내 인생에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경험이 새로워서 재밌고요. 나를 잃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도 공감은 가지만, 제가 수행할 미션은 더 집중해서 조연의 삶으로 가야 한다는 거예요. 

준영 : 아이가 생기면서 일보다 가족으로 중심이 옮겨졌어요. 회사에 남아서 야근을 할지 말지, 이런 게 고민거리가 되지 않은 삶이에요. 가족과 저녁 시간을 보내는 게 너무나 중요하니까요. 친구 중 제게 ‘와이프 눈치를 많이 보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어요. 그게 아니고, 가족의 중요도가 너무나 높아져서 그런 거거든요.  




늘 함께하는 온유네 (출처 : 인터뷰이 제공) 



우따따 멤버십 가입하고 이어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