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erion 1

어린이 주인공을 일방적으로 가르침 받거나 꾸중 받아야 할 수동적인 인물로 그린 경우 큐레이션에서 제외한다. 어린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성찰하며 결정하는 주체성을 그려내야 한다.

Criterion 2

어린이의 신체적, 인지적, 언어적 발달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 제외한다.

창의력 발달과 사회화 능력을 증진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우선한다.

Criterion 3

어린이를 포함한 노인, 장애인, 동물 등 사회적 약자를 너그럽게 배려하지 못할 경우 큐레이션에서 배제한다. 사회적 약자를 공격하거나 조롱하는 농담, 장난 등이 포함된 경우, 그 경중이 미약할지라도 제외한다.

Criterion 4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모습을 그리되 등장인물의 남녀 성비가 균형적이어야 하고 색깔로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건강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도록 자연 친화적이고 종 다양성을 고려하는 분위기가 콘텐츠 안에 바탕이 되어야 하며, 등장인물은 이를 지향하는 태도를 취한다.

Criterion 5

콘텐츠 안에서 성별, 나이, 인종, 지위 등에 국한되는 역할을 강요하거나 그에 따른 선입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면이 포함된 경우 큐레이션에 배제한다. 모든 어린이가 자신의 무한한 가능성과 역량을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역할을 독려해야 한다.

Watching Guide

딱따구리 콘텐츠 시청 가이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는 디지털 원어민으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스마트폰, 인터넷,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일상처럼 사용하는 세대를 말합니다. ‘키보드 세대’, ‘디지털 키드’ 등 다양한 별명이 있지만,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말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딱따구리’는 태어난 순간부터 이미 디지털 환경이 잘 구축된 우리 어린이 세대의 상황과 미디어 노출을 완전히 막을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어린이가 스스로 건강한 콘텐츠를 판단해내는 자립심을 키우도록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양육자 사이에 디지털 페어런팅이 보편화 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하면 올바른 콘텐츠 활용을 독려할 수 있는지 고민했습니다. 오랜 숙고 끝에, 양육자와 어린이가 건강한 콘텐츠 사용을 위해 함께 지켜나가야 할 열 가지 약속을 만들었습니다. 해당 시청 가이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관해 제작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제작했습니다.



01 18개월 미만, 시청 활동 보다는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18개월 미만의 아동에겐 가급적 영상 콘텐츠를 보여주지 않기를 권합니다. 다만 영상 시청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이야기 진행 속도가 느리고, 아이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한 내용으로 선택해주세요.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 하루 최소 180분 가량의 신체 활동이 필요합니다.

02 만 4세 이상, 콘텐츠 시청 1시간까지

만 4세 이상은 콘텐츠 시청을 1시간으로 제한해 주세요. 다만 가만히 앉아서 화면만 보는 시간이 1시간을 넘어서는 안 됩니다. 하루 중에 적어도 60분은 숨이 가쁠 정도의 신체적 활동을 하게 해주세요. 

03 콘텐츠 루틴 정하기

콘텐츠를 시청할 자리, 시간대, 사용 시간을 어린이와 함께 정해서 그 루틴을 따를 수 있도록 해주세요. 어린이들의 능동적인 합의로 콘텐츠 시청 시간이 무분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약속한다면 아이들도 스스로 루틴을 점검하게 됩니다. 

04 스마트폰을 흑백화 해주세요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화면을 흑백화 하는 기능을 찾아 활성화한다면 영상 콘텐츠에 대한 흥미도가 뚝 떨어지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어린이의 콘텐츠 의존도를 낮출 수 있도록 이 기능을 활용해 주세요. 

05 연령별 수준을 고려한 콘텐츠만 보여주세요

연령별, 시기별로 알맞은 내용의 콘텐츠만 선별해 보여주세요. 그렇지 않을 경우 콘텐츠를 통한 잘못된 선입견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에게 콘텐츠를 무턱대고 보여주기 전, 미리 신체 발달, 인지 발달 등을 고려한 콘텐츠인지 직접 확인해 주세요. 

06 유튜브 사용 시 유튜브 키즈를 활용해 주세요

유튜브를 시청할 경우, 무분별한 알고리즘으로 이어지지 않는 유튜브 키즈를 활용해 주세요. 다음 영상으로 자동 재생되지 않아 시청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 유튜브의 경우, 광고 보기를 없애서 성인 대상의 광고가 함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07 어린이에게 콘텐츠 과의존 위험성을 알려주세요

콘텐츠를 보면 볼수록 나도 모르게 계속해서 보고 싶어지고 영상 콘텐츠 없이 노는 방법을 잊게 된다는 것을 상세하게 알려주세요. 어린이도 그 위험성을 함께 알아야만 함께 조절해 나갈 수 있습니다. 

08 어린이 앞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보호자도 어린이 앞에서 최대한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보호자의 언행 불일치는 어린이에게 불신을 느끼게 하고, 자신이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할 이유를 잃게 합니다. 어린이가 자신을 위해 가족이 함께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해주세요.  

09 수면 3시간 전에는 모두 로그아웃해 주세요

질 좋은 수면을 위해 어린이들이 수면 시간 3~4시간 전에는 모든 미디어로부터 로그아웃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계속해서 스크린에 노출되면 취침 시간 지연이 반복되면서 우울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고 신체 발달에도 문제가 됩니다. 

10 정말 필요하다면 키즈폰으로 주세요

어린이의 안전 연락망을 위해 핸드폰 구매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를 계속해서 미루고만 있을 수는 없으니, 만약 어린이를 위한 핸드폰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연락 중심의 키즈폰으로 선택해 주세요. 개인 스마트폰은 최대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