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어린이에게 지루함이 왜 중요한지 알려드려요.
‣ 어린이가 지루함을 즐길 수 있는 놀이 방법을 알려드려요.
밖에 자주 나가기 힘든 장마철이에요.
“지루해, 심심해!”라고 외치는 어린이의 하루를 꽉 채워 재미있게 해줘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잠시 멈춰 주세요. 어린이는 지루함을 느낄 필요가 있거든요. 딱따구리가 지루함이 어린이에게 왜 중요한지, 지루함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어린이에게 어떤 놀이를 알려주면 좋은지 알려드릴게요.
적당한 지루함은 어린이에게 필수적 요소!
✔️ 쉬면서 연결되는 생각들 : 힘들면 몸을 쉬게 하듯, 뇌에도 쉼이 필요해요. MRI를 활용한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공상할 때 오히려 다양한 뇌의 부분들이 자극되어 활발히 연결된다”고 해요. 과열된 뇌를 진정시키고 부족해진 연료를 채우는 시간을 가지면, 연결되지 못하고 미로에 갇혔던 생각들이 자석에 이끌리듯 서로 연결된답니다.
✔️ 심심함은 창의력의 신호 : 뇌과학자 샌디 만 박사는 “지루한 느낌이 우리 뇌에 '충분히 자극적이지 않다'는 신호를 보내서 우리를 창의적으로 만들어준다”**고 말해요. 따라서 지루함이 느껴질 때 그것을 다른 즐거움으로 빨리 대체하지 말고, 그 상태에 더 머무르는 것이 필요하죠. 지루함의 시간은 질서를 잡으려는 무의식을 깨고 어린이를 더 자유롭게 만들어 줘요.
✔️ 다양한 해결책을 찾는 확산적 사고 :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힘은 ‘확산적 사고’를 가능하게 해요. 확산적 사고란, 여러 가지 생각을 산발적으로 펼쳐놓고 하나의 정답이 아닌 다양한 해결법을 찾는 사고 방법을 말해요. 생각과 상상을 거듭하는 지루한 시간 동안, 어린이는 다양한 생각의 더미 속에서 재구성의 시간을 가지며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답니다.
지루함을 즐길 수 있는 방법
지루함을 제대로 겪어보지 못한 어린이는 어떻게, 무엇을 하며 지루함을 즐겨야 하는지 몰라 끊임없이 놀아달라고 요구할 수 있어요. 정말 난감하죠. 어린이가 지루함을 즐길 수 있도록 딱따구리가 도와드릴게요.
1. 멍때리며 공상하기🥱💭 : 심심하다고, 놀아달라고 하는 어린이에게 소파 또는 바닥에 누워 눈을 감아 보자고 제안해 보세요. 지루하다고 해서 뇌가 멈춰있는 것은 아니에요. 멍하니 있다 보면 생각은 자연스럽게 퐁퐁 샘솟아요.
가만히 누워서 눈을 감아볼까? 계속 생각하고, 생각하다 보면 생각이 뒤엉켜서 머리가 아파질 수도 있어. 그래도 천천히 숨을 쉬면서 생각을 이어 나가 봐. 무언가 재미있는 생각이 떠오를 거야! 졸려지면 자도 좋아.
가만히 있다 보니 생각이 계속 떠오르지?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지 이야기해 볼까?
2. 낙서하며 표현하기🖍️ : 집안 곳곳에 굴러다니는 색연필과 종이를 가지고 낙서를 시작해 보세요. 당장 떠오르는 하트나 별을 그려도 좋아요. 어린이가 아는 모든 단어를 적어 봐도 좋고요. 의미 없는 낙서를 뚫어져라 쳐다보고 “만약에…”라는 말을 반복해 보세요. 말도 안 되는 생각과 상상의 이야기가 펼쳐질 거예요.
OO이는 어떤 단어를 좋아해? 좋아하는 단어를 적어 보자. 만약에 이런 스티커를 붙여 본다면 어떨까?
엉망진창인 것 같아요.
가만히 쳐다봐 봐. 만약에 이 두 가지를 선으로 이어 본다면? 둘 사이에 하트가 있네! 둘이 좋아하나 봐.
3. 산책하며 숨어있는 것 발견하기🚶♀️ : 놀이할 거리도 많고, 생각할 거리도 많은 어린이에게 숨돌리며 자연을 바라보는 산책의 시간을 권해 보세요. 산책하러 나갈 때, 어린이가 찍을 수 있는 어린이용 사진기를 가지고 나가면 좋아요. 예쁜 것을 사진에 담아보고, 신기한 것을 만지며 계획 없이 거닐어 보는 거죠. 집으로 돌아와 사진을 하나씩 넘겨보면 숨겨진 것을 더 발견할 수도 있어요. 늘 생각하기 바빠서 놓쳤던 많은 것들을 재밌게 발견하는 시간이 될 거예요.
*출처 1) “더 지루해져야 하는 이유: 따분함의 과학”, BBC NEWS 코리아, 2018
*출처 2) 위의 기사
관련 아티클
![]() |
어린이에게 지루할 자유를! 아티클보기 |
  |   |
![]() |
어린이도 명상을 할 수 있다고? 아티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