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요약
‣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것이 상상력과 창의력, 포용성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 알려드려요.
‣ 유머 있는 어린이는 왜 위기를 잘 극복하고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맺게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지난 달, 어린이의 건강한 자아와 관련된 두 가지 우따따 어린이상을 소개해 드렸죠. 이번 달에는 두 번째 편으로, ‘긍정적인 태도’의 중요성을 담은 어린이상을 알려드릴게요.
아름다운 것을 즐기며 감상할 줄 아는 어린이
어린이는 주변의 사소한 것들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팔랑거리는 나비만 봐도 환호성을 지르고, 늘 보던 구름을 보며 감탄하기도 하죠. 우따따는 어린이가 이렇게 세상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즐길 줄 아는 태도를 잃지 않길 바라요. 왜냐하면요,
상상력과 창의력이 자라나요: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일은, 익숙한 시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상상할 때 일어나요.¹ 즉, 어린이가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할 때는 그만큼 상상력을 활발히 사용하고 있다는 거예요. 눈에 보이는 것 너머를 상상할 줄 아는 힘은 창의력의 출발점이에요. 풍부한 상상력으로, 독창적인 방법을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를 수 있어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게 돼요 : 예술을 즐기며 감상할 줄 알면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공감할 수 있어요. 예술 작품에는 작품이 만들어진 배경의 문화와 환경, 삶의 가치관이 담겨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어린 시절부터 쌓인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은 세상을 포용하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어린이로 성장하게 해 줘요.
🌟 아름다움을 즐기며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우따따의 지난 아티클을 읽어 보세요.
![]() |
[큐레이션] 동양화 그림책으로 예술 감각을 키워요 아티클보기 |
  | |
![]() |
[큐레이션] 봄을 만끽하면 어린이의 OO 발달에 도움이 돼요 아티클보기 |
작은 일에도 감사하며 어느 때에도 유머를 잃지 않는 어린이
감사와 유머는 사람에게 왜 중요할까요? 웃음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의 분비는 줄이고, 행복 호르몬이라도 불리는 엔도르핀의 분비는 촉진한다고 하죠. 웃음으로 가지게 된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는 원활한 사회관계를 맺고 어려운 일을 극복해 낼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답니다.
긍정적 사회관계: 연구² 에 따르면 감사하는 습관은 사람의 공격성을 감소시킨다고 해요. 감사가 다른 사람에게 더 세심한 관심을 표현하며 친사회적인 행동을 하도록 영향을 준다는 것이 실험으로 밝혀졌어요. 자신과 타인을 웃게 만드는 유머 감각 또한 쉽게 우정을 쌓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도와줘요. 함께 웃으면서 서로를 더 편안하게 드러내고 깊은 관계를 맺게 도와주지요.
위기를 극복하는 힘: 다년간 이루어진 회복탄력성 연구에 따르면 어떤 상황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는 사람들이 다양한 삶의 위기들을 더 잘 헤쳐 나간다고 해요. 아동·청소년 심리 치료사인 헐리 박사도 “유머는 스트레스 해소 이외에도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및 회복력을 촉진한다.”³ 고 말했어요. 유머는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유연한 사고를 하도록 하기 때문이에요. 어려운 일에도 좌절하지 않고 씩씩하게 길을 찾으며 회복할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어린이의 유머 감각을 소중히 여겨 주세요.
🌟 작은 일에도 감사하며 유머 감각을 가질 수 있게 돕는 우따따의 아티클을 읽어 보세요.
![]() |
[양육가이드] 어린이의 감사한 마음을 키워주는 가장 쉬운 방법! 이것을 추천해 드려요! 아티클보기 |
  | |
![]() |
[큐레이션] 책 싫어하는 아이도 단숨에 빠져드는 박장대소 그림책 아티클보기 |
내 주변의 작은 것에서부터 아름다움을 찾아낼 수 있고, 감사하는 습관을 지니며 어느 상황에서도 유머 감각이 있는 어린이. 우따따가 바라는 어린이상의 두 번째 내용이었어요. 다양한 것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어느 때에도 신나게 웃을 줄 아는 어린이를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앞으로도 이어갈게요!
*출처 1) “Reflections on How Young Children Develop a Sense of Beauty and Should Be Guided in Doing So”,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71, No. 6, 2023.
*출처 2) “A Grateful Heart is a Nonviolent Heart: Cross-Sectional, Experience Sampling,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Evidenc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012.
*출처 3) “Even if your kids roll their eyes, keep making jokes, research says”, CNN, 2024.
관련 아티클
![]() |
우따따 어린이상을 소개해요 (1): 건강한 자아 아티클보기 |